목록일상/후기 (87)
nakka soft world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7Wte/btsD4F383VR/ZrWRRpwjaIO88zaiebLYwk/img.png)
서울형 육아 휴직 장려금을 받기 위해서는 몇가지 서류가 필요 하다.그중에 하나가 육아 휴직 확인서이다.내가 이글을 쓰는 이유가 육아 휴직 확인서를 발급 받는데 한참을 헤멧기에 나같은 사람이 없길 바라면서 포스팅을 한다.육아 휴직확인서를 발급 받기 위해서는 고용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우선 들어 간다. https://www.ei.go.kr/ei/eih/cm/hm/main.do 고용보험* 본 모의계산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본 모의계산은 소정근로시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www.ei.go.kr 고용 보험 홈페이지에서 '육아 휴직 확인서' 라고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가이드를 볼 수 있고,나 또한 아래 가이드를 참고 해서 발급 받을 수 있었다. 고용 보험 상단의 "개인서비스" 에서 모성보호 하위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wwRy/btsA7L0sg2w/0sK2iGADkr6LnI1lGRso4K/img.jpg)
우연한 기회에 들르게 된 서울시 중구 광희동에 위치한 광희동 작은도서관. 이전에 석관동 새마을 문고(작은도서관)에 대한 포스팅을 한적이 있습니다. 석관동과 광희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보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nakkasoft.tistory.com/298 [후기] 석관동 새마을 문고 네이버나 카카오지도에서 도서관이라고 검색을 하면 도서관 이외에 "새마을 문고"라는 곳이 나온다. 주로 XX동 새마을문고 라고 나오는데, 지도를 확대 해보면 해당 동 주민센터에 위치한 경우 nakkasoft.tistory.com 광희동은 동대문역사공원 5호선 라인을 따라 있는 동네 입니다. 광희동 중심을 5호선이 통과 하는 형태 입니다. 서울의 중심부에 해당하죠. 광희동 작은 도서관은 광희동 주민센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GO9Nt/btsAYEAT2aZ/kHJkZcW6EsaHeozTXvUws1/img.jpg)
서울시 성북구 장위동과 서울시 노원구 월계동 사이에는 우이천이라는 하천이 있습니다. 우이천을 건너는 교량이 있는데 이 교량이 장월교 입니다. 기존 장월교는 1991년에 지어진 다리로서, 올해로 30년 가까이 된 교량이었습니다. 안전등급에서 개보수가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고 작년 초 부터 기존 교량을 부수고 신축하였습니다. 22년 5월 부터 시작된 교량 신축 공사는 이제 마무리 되어 개통을 코앞에 두고 있습니다. 공사 기간동안 인근 주민 들은 다리를 건너지 못해서 차량은 유턴해서 돌아 간다던지, 버스 노선도가 바뀌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물론 임시 보행로는 있었지만, 공사로 인한 불편함들이 있었습니다. 아래는 이전 장월교의 모습입니다. 전통적인(?) 교량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장월교는 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5ZQl/btsAw7Kgrvu/5AXX0QvSx9Rl1HpYatmARk/img.jpg)
우연히 알게된 무한연필. 집에 연필을 쓰는 초딩이 있다보니 지속적인 몽당연필이 생성됩니다. 몽당연필을 하나로 이을 수는 없을까 고민하던 찰라에 알게된 무한 연필. 몽당 연필은 연필을 사용해서 만들어 지기도 하지만, 낙하등으로 인한 강한 충격이 발생하면서 내부 심이 다 부서져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생들에게는 아주 허다한 일입니다. 이런 경우 연필을 깍아도 부러진 심을 만나게 된다. 계속 깍다 보면 몽당 연필이 되어 버립니다. 무한연필이란. 특성은 연필과 동일하나, 단한가지 차이점은 아무리 써도 심의 길이가 줄어 들지 않는 다는 것. 무한연필의 원리는 연필심을 합금으로 만들었다고 하는데, 그건 나에게 중요 하지 않음. 연필이 무한이라는 점이 중요 했습니다. 이름이 무한 연필이기는 하지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6DEz/btsAm3URSAo/2DRmCqaokhEiTWGfdbQSW1/img.jpg)
도서관에 갔다 오는 길에 우연히 본 무인 카페이다. 정확히는 로봇 카페이다. 로봇이 커피를 타주는 카페인 것이다. 카페 이름에서 느껴지듯 Beatbox를 좋아 하는 로봇일 것 이다. 출입물을 들어 가면 POS기가 우릴 반겨 준다. 키오스크를 통해서 주문을 하면 된다. 아아 2500원으로 준수한 가격대를 선보이고 있다. 대낮에 갔더니 빛 비침이 심하다. 커피를 주문하면 기기안에 있는 로봇이 커피를 만들어 준다. 커피를 수령할수 있는 토출구가 여러개 이다. 영수증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커피문이 열림으로서 다른 사람과 주문이 엉키는 것을 방지 했다. 특이한건 상단의 화면으로 DJ가 음악을 플레이하고 있고, 그 음악에 맞춰 잠깐잠깐 로봇이 춤을 춘다. 자주 추지는 않는다. 우리가 나온 이후에도 몇몇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xkeb/btsz7SFzUTE/K6XMtk6OG2BapBN8M6gS91/img.jpg)
COMEUP은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스타트업 행사 입니다. 일반 적인 스타트업 행사는 국내 스타트업 기업만 참여 하는데, COMEUP은 특이하게도 외국 기업도 참석 합니다. 그 덕에 외국 스타트업의 근황도 알 수 있습니다. StartUp에 항상 매우 관심이 많은 저도 행사에 참여하여 요즘의 트렌드에 대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을 나오면 정면에 아래와 같이 COMEUP 행사 입간판이 보이지만, 아래가 행사장이 아닙니다. 아래는 해외 고객의 라운지가는 길입니다. 진짜 행사장은 이곳 입니다. 행사는 DDP ART HALL이 메인 스테이지 입니다. ART HALL 입구로 입장을 하면 아래와 같이 등록 데스크가 나옵니다. 사전 등록한 저는 바로 QR을 인식해서 명찰을 발급 받았습니다. 전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aVId/btszAZsVmGo/Fj8zWGP7INhT8GseHSvp3K/img.jpg)
이번엔 말도많고 탈도많은 10 구역과 최근 소식이 Update된 8, 9 구역입니다. 10구역은 다들 아시는 그 교회가 있는 구역입니다. 아직 분양전 이지만 현 시점에서 가능한 공사는 진행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포크레인 2~3대가 공사 중에 있습니다. 10구역앞은 4구역 앞과 맞닿아 있습니다. 그 곳에도 함바집 상권이 분포 되어 있습니다. 10구역이 정식으로 공사 하는 날에는 더 많은 함바집이 생기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다음은 8, 9 구역 소식입니다. 서울 도시 계획 포털에 공지 된대로 정비 계획 심의가 가결되어 재정비 촉진구역으로 지정 되었습니다. 이는 재정비가 필요 하다는데 승인을 받았다는 의미로, 재개발이 이루어 진다는 의미입니다. 이제 구역지정이 이루어지면 본격적으로 재개발 프로세스를 진행 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5joM/btszj7yF8Ky/wQOtNskWK0j5vVPlb1qiqK/img.jpg)
2023년 11월 1일 현재 성북구의 전 도서관에서는 지식 인문 축제인 책모꼬지를 하고 있다. 그 축제의 일환으로 '오동 숲속 도서관'에서는 11월 5일까지 '주름의 숲'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남정근(시각/회화,조각), 모유지(시각/한국화), 조주혜(공연/한국무용) 작가님이 참여를 하였으며 육끼(육식토끼)님이 기획을 하셨다. 주름의 숲은 '어르신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청년작가들의 조각, 회화, 무용작품 전시' 라고 도서관 공식 사이트에 설명되어져 있다. 즉, 한마디로 청년작가들이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각자의 방식대로 전시 하는 것이다. 내 생각에는 어르신들의 연륜이 축적된 주름을 통해서 그들의 삶을 뒤따라 가보며 현재와 연결해보는 게 아닌가 싶었다. 가본 사람은 알겠지만, 오동 숲속 도서관을 가는 길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7ThZ/btszlnUriDd/yx1eZqYK3YPBfkrM2enoE0/img.jpg)
네이버나 카카오지도에서 도서관이라고 검색을 하면 도서관 이외에 "새마을 문고"라는 곳이 나온다. 주로 XX동 새마을문고 라고 나오는데, 지도를 확대 해보면 해당 동 주민센터에 위치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름을 보면 알수 있듯이 MG새마을 금고와 관련성이 없지는 않다. 둘다 "새마을운동중앙회"의 회원단체에 속한다. 오늘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새마을 단체에 대해서 이야기 할 것은 아니고, 오롯이 새마을 문고(작은도서관) 후기에 관한 내용이다. 내가 새마을 문고를 찾게 된 이유는 대부분의 도서관이 월요일에 문을 열지 않기 때문이다. 주로 글을 쓰거나 공부를 위해서 도서관을 찾는데, 월요일이면 내 주변의 거의 모든 도서관이 문을 닫는다. 네이버에서 도서관으로 검색을 하면 새마을 문고가 나오기는 하나 아파트 도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nUbB/btszbjrIxTR/PEQKyMzG5SJKJXNtZ8ZC3K/img.jpg)
격변하고 있는 장위동 입니다. 현재 공사가 진행중인 구역은 4구역과 6구역이고 이글 또한 이 구역의 근황을 알려 드리고자 하는 목적 입니다. 6구역 본격적인 공사를 위한 가림막 설치 중입니다. 우이천 쪽은 꽤 진행되었는데 4구역과 가까운 부분은 이제 가림막 설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4구역 대부부의 건물이 기초공사는 마무리 되었고 위로 층을 쌓아 올라가고 있습니다. 4구역과 8구역 사이 죽어가던 이곳엔 새로운 상권이 생겼습니다. 장월교 장위동과 월계동을 있는 다리는 공사도 어느덧 거의 끝나갑니다. 다리 시공은 끝난 것 같고 바닥페인트 칠중입니다. 장위동 소방서 6구역 끝자락에 임시 소방서를 짓고 있습니다. 신규 장위 소방서가 어디에 위치 할지 모르겠지만, 현 시설이 너무 낡긴 낡았습니다. 장위 3동 주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