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kka soft world !
포스트 스마트폰, 경계의 붕괴 본문
김지현 교수 강의
KBS IT 콘서트 : https://www.youtube.com/watch?v=E6xheM0OjJE
https://www.youtube.com/watch?v=zCIpFw3L10w
줄거리 요약 및 후기...
1부 IoT, 이용하지 않으면 이용당한다.
- 소유의 종말, 연결의 시대가 온다.
방대한 데이터 이젠 소유가 아닌 필요한 정보를 누가 빨리 찾느냐가 관건.
이젠 정전이 두려운것이 아닌 불통이 두려움... 모든 장치를 하나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
클라우드를 위한... 호환성과 표준화가 중요. - 이전에 사용하던 포털서비스(카페, 메일등..)이 Cloud의 시작임.
- 함께하고 나누고 합하는 사회
.공유와나눔의 철학에 기반을 둔 상생의 경제
앱스토어 구글플레이 모두 개방
비즈니스 실패의 예 ibm : pc시장을 선도해씨지만 그로인한 수익을 거두지는 못함. 인텔 ms 등이 수익을 거둠.
서비스 플랫폼. 물과 공기와 같은 존재가 되야함.
반쯤열린 플랫폼 페이스북. read는 가능 write는 불가능
- 상품의 개발과 마케팅에 참여하는 사용자
오마이뉴스. sns로 제조에 참여함
소셜 펀딩 : 킥스타터, 무비펀딩
- 서비스가 소비자를 찾아가는 시대
자동으로 음악을 선곡 해주는 서비스. 인건의 오감을 넘어서는 디지센서스.
마우스와 터치에서 대화로 진화한 인터페이스.
중요기술 3가지
1. 음성인식
2.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서비스형태로 즉각대령
3. 지속적으로 모바일 검색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는 데이터 마이닝 기술.
빅데이터의 정보수집 근간은 폰이됨.
- 멀티태스킹을 하는 사람들동시에 2개이상의 스크린을 보는 사회가 됨.
사람과 사람연결으류넘어 기계와기계의 연결
가전기기의 네트워크화
통신기술. 데이터 분석 기술. 서비스.
멀티스크린의 진화
동일한 내용을 보는 것이 아닌 가규장치마다 특성을 가지고 형태나 디자인을 달리하는 방식 이어야함
- 현실, 가상, 환상이 통합되는 세상
현실과 가상을 통합해준 매게채는 스마트폰.
word lens : 증강현실을 이용한 번역 서비스
- 개인의 일상과 반응이 가치를 만든다.
페이스북을 통한 사생활 공유 및 기사, 뉴스페이지 공유를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가능.
유투브, 구글 지도, 위키피디아,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Ted등의 개방과 공유로 큰 기회가 생김.
개인의 일상이 주목받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개방의 경제가 내일의 비즈니스가 됨.
2부 스마트폰 이후, 비즈니스 기회는 어디 있는가
-ict, 모든산업을 삼키다
스마트폰출시이후 오프라인네비게이션, mp3,pmp게임기등의 산업 퇴출
구글은 2004년 keyhole을 인수. 구글맵사업시작. 2009 네비게이션사업시작. 탐탐, 가민, 네비곤과 같은 기존업체 타격입음.
나이키 스포츠업체에서 ict기업으로 탈바꿈함. 나이키플러스서비스 출시
- 스마트폰이후태블릿, SNS이후 LBS
모바일 최대수혜주는 SNS다음은LBS
LBS : Location Based Service
스마트폰의 경우 GPS를 내장하여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
위치기반 서비스 : yelp, foursquare
지도 기반의 플랫폼 및 서비스는 상당한 비용의 투자와 유자비가 많이 투입되어야 함. 이와 반면 비즈니스 모델은 불분명함.
이로 인해 계륵 과 같은 존재가 되기도 함.
스마트폰이 만든 키워드 SoLoMo(Social, Local, Mobile), Social의 절대 강자는 있으나 Local의 절대 강자는 아직 없는 상황.
웨이즈(Waze) : 재미를 주는 네이게이션앱
씨온, 플레이 스탭, 포잉
.공유 경제관련 앱
Airbnb : 개인 방 공유 서비스
Zipcar, socar, 그린카 : 자동차 공유
Co-Up : 공간공유
열린옷장 : 옷 공유
. 태블릿
Post PC시대 :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
태블릿 : 주로 콘텐츠 확인 용도. 전자책, 웹툰, 유투크, 훌루, 넷플릭스, 플립보드등,
Zeen : 유투브 창업자들이 만든 디지털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디지털 경제를 완성시킬 IoT
2020년 40억의 인구가 310억개의 Device를 통해 연결됨
IoT 3대 핵심 기술
1. 센싱 : 제품에 맞는 센서, 센서의 정밀도 중요
2. 통신 인프라 : 인터넷(WiFi, 3G, 4G LTE), 컴퓨팅 기기(RFID, 지그비, WiFi Direc등)
3. 서비스 인터페이스 : SW 플랫폼
사용화 제품
직접 인터넷 연결 : 위딩스의 디지털 제충계, Neat, Aria, Wi-Fi Smart Scale,
스마트 폰에 연결 : 스마트 워치, 조본업, 핏빗
제조공장 연결 : Maker's Row makersrow.com
투자금 모집 : 킥스타터, 텀블벅 tumblbug.com
아이디어 중재 : 아이브디어 ivdea.com 아이디어 마켓 hs-ideamarket.co.kr
주목받는 스타트업 : 페블, 심플 티비(simple.tv), 랜딩존(LandingZone), 오우야(Ouya)
아마존의 제프 베조그(Jeff Bezos) CEO 2012년 9월
We want to make money when people use our device, not when they buy our devices.
-지금 비즈니스는 빅데이터 전쟁 중
고객의 일상과 생각을 수집하다.
As-IS : Needs - Search - Decision - Pay - Buy
To-Be : Suggest - Choice
데이터 분석 기반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고객의 결제 데이터.
개별 결제 방식 (예, 싸이월드 도토리, 카카오톡 초코 등) 은 카드사는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지 못함.
카드로 도토리를 사는 것보다 도토리로 무엇을 사는 지가 더 중요한 정보임.
- 방송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스마트폰과 스마트 TV
구글이 모토롤라를 인수 하고, MS가 노키아를 인수 하고, 아마존이 킨들 파이어를 제조함.
이전과는 다르게 제조부터 서비스까지 하나를 아우르려는 움직임이 일어남.
컨버전스 산업, 융합의 비즈니스 패러다임이 확산됨.
IPTV는 하나의 스크린에서 N스크린으로의 진화를 꾀하여야 함.
즉, 비디오 유통 플랫폼화 하여 다양한 기기에서 동일한 화면을 볼수 있는 방송 유통 플랫폼화 해야 함.
스마트 TV의 헤게모니
1. 시청자의 영향력 확대.
인터넷을 통해 시청자가 직접 방송하고 하나의 채널을 개설할 수 있는 상황임.
2. 국경없는 글로벌 TV스토어
인터넷을 통한 방송은 국경없이 방송송출이 가능.
3. TV검색의 중요성 증대.
클라우드, PVR등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디바이스에서 시청 가능.
4. 시청률에 영향을 주는 소셜 TV
같은 장면명을 보는 시청자간 수다를 떨거나, 해당 화면과 연관된 View제공
소셜 TV 앱 : 겟글루(GetGlue), 소티(SOTY), 지박스(Zeebox), TV Gift
- 앱과 웹, 그리고 위젯의 끝없는 혁신
- 괴물이 될 수 있는 ICT플랫폼
SNS, 뉴스 콘텐츠의 이동경로가 변경됨.
지구의 빅브라더가 되어 가는 구글,
3부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 시시각가 진화하라
-승자가 모든 것을 갖는 ICT생태계 전쟁.
스마트폰 시장이 커가면서, 디지털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장악 해가는 GASA(Google, Apple, Samsung, Amazon)
추락해가는 MOBE(MS, nOkia, Blackberry, dEll)
-플랫폼 전쟁에서 살아 남는 전략
플랫폼. 인구의 20%정도가 사용해야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음.
저렴한 Device, SW표준화, 빠른 네트워크 (HW-SW-NETWORK) - 생태계
생태계를 제공하여, 참여자들이 혜택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해야 함. 상생과 공생
플랫폼 전쟁에서 살아 남는 법
1. 기득권 기반의 영향력을 행사 하라
가진 것이 시장점유율 50%이상으로 절대적 1위 이라면 확보된 기반위에 플랫폼으로 확장 가능한 서비스를 넣어 영향력 확대하는 것이 효과적.
2. 양면 시장의 고객층을 최대한 확보 하라
생산자-소비자, 개발자-사용자, 판매자-구매자
3. 양면시장중 공급층을 꼬셔라
소비자층 양적 확대보다 공급자의 질적확대가 중요 할수 있음(예, 후발주자의 앱스토어가 선발주자의 Killer App을 확보 하여 고객확보)
4. API비즈니스 모델에 주목 하라
대중적이지는 않아도 쉽게 발견하기 어려운 데이터나 차별화된 콘텐츠라면 AP를 유료로 제공하는 것도 수익화 방안중 하나
-혁신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는 무엇인가
모든것이 ON되는 세상.
플랫폼사업 전략에서 가장중요한 것은 Value - 소비자에게 중 가치, Why - 상품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
"원숭이 꽃신"
처음에는 무료로 받은 신발이 나중에는 꼭 필요 하게 되자 돈을 주고 구매하게됨.
지금 필요한 것은 ICT기반의 통합적 사고
1. 새롭게 출시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비스에 관심을 가져라.
2. 다른 산업 군의 전문지는 구독하고 세미나에 참석하라. (onoffmix.com, wisdo.me)
3. 이종산업으로 이직하라.
4. 다양한 경로로 정보를 습득해 통찰력을 키워라.
'일상 >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팥빙수 만들기 (0) | 2015.08.25 |
---|---|
맛집 List (0) | 2015.08.25 |
2013 모바일 비즈니스와 기술 트렌트 fall (0) | 2015.08.13 |
아이디어 (0) | 2015.07.28 |
팬택의 마지막 광고 (0) | 201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