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kka soft world !
[리눅스] 파일/폴더 압축/압축해제 본문
파일이나 폴드더를 주고 받을때 보통은 압출을 하여 전송한다.
낱개로 전송시보다 번거롭지 않게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압축을 통해 용량면에서도 효율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압축은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 하는데,
윈도우의경우 마우스 우클릭해서 압축을 해제 하지만, Linuc의 CLI환경에서는 그럴수가 없다.
이에 확장자 기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패턴만 정리 해 봤습니다.
1. tar
압축 하기
# tar -cvf [Filename.tar] [Path] ex) sample이라는 폴더를 test.tar 로 압축 한다면, |
압축 해제
# tar -xvf [Filename.tar] ex) test.tar 파일의 압축을 해제 한다면, |
2. tar.gz
압축 하기
# tar -zcvf [Filename.tar.gz] [Path] ex) sample이라는 폴더를 test.tar.gz 로 압축 한다면, |
압축 해제
# tar -zxvf [Filename.tar.gz] ex) test.tar.gz 파일의 압축을 해제 한다면, |
3. gz
압축 하기
# gzip [Path] ex) sample이라는 폴더를 압축 한다면, |
압축 해제
# gunzip [Filename.gz] ex) test.gz 파일의 압축을 해제 한다면, |
이외에도 많은 압축 방식들이 존재 하지만,
리눅스 환경 현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 들에 대해서 정리 해봤습니다.
'일상 > 최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st - Thermostat(써모스탯) (0) | 2015.02.02 |
---|---|
사물인터넷 관련주 (0) | 2015.01.13 |
사물인터넷 (IoT) (0) | 2015.01.13 |